반응형
병원 진료비가 예상보다 많이 나와서 당황하신 적 있나요?
실손보험도 들었는데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? 싶을 때, 놓치지 말고 반드시 확인해야 할 3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.
1. 본인부담상한제 환급 대상인지 확인
건강보험 적용 진료를 많이 받았다면, ‘본인부담상한제’ 환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- 연간 본인부담금(자기부담금)이 소득구간별 상한액을 초과하면
- 초과 금액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환급해줍니다
- 매년 8월경 우편 안내문을 받게 되며, 3년 이내 신청 가능
👉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‘The건강보험’ 앱에서 조회 가능
👉 [본인부담상한제란?] 글에서 자세히 알아보세요
예: 연소득 3,000만원인 A씨가 병원비로 350만원을 지출한 경우,
상한액이 200만원이라면 초과 150만원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2. 비급여 항목 포함 여부 확인
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면 생각보다 큰 금액이 청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그 이유는 대부분 ‘비급여 항목’ 때문입니다.
-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치료, 검사, 약품 등이 비급여
- 대표 예시: 도수치료, 특진비, 비급여 MRI, 신약, 로봇수술 등
- 실손보험이 없다면 전액 본인부담
진료비 내역서를 꼭 확인해보세요.
비급여와 급여 항목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, 비급여 비중이 높을수록 병원비는 급증합니다.
3. 실손보험 청구 가능한 항목인지 체크
병원비가 많이 나왔다면, 실손의료보험이 적용되는지도 확인해보세요.
- 건강보험 급여 항목은 대부분 실손보험에서 보장
- 일부 비급여 항목도 구간에 따라 보상 가능
- 통원치료, 약제비도 보장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음
✅ 챙겨야 할 서류
- 진료비 계산서 및 영수증
- 진단서 또는 처방전
- 입·퇴원 확인서 (입원 시)
요즘은 보험사 앱에서 모바일로 청구 가능하니 영수증은 꼭 받아두세요.
지나치면 되돌리기 어렵습니다.
추가 팁: 병원비를 줄이려면?
- 건강보험 적용 여부 확인하고 진료받기
- 동일 질병은 동일 병원에서 지속 치료 → 실손보험 중복 청구 방지
- 세대 내 다른 가족과 병원비 통합 정산 여부 확인 (본인부담상한제 시 유리)
정리하면 이렇습니다
체크 항목 | 이유 |
본인부담상한제 | 상한액 초과 시 초과분 환급 |
비급여 항목 구분 | 건강보험/실손보험 적용 여부 파악 |
실손보험 청구 여부 | 병원비 일부 돌려받을 수 있음 |
📌 병원비가 많이 나왔다면,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.
정부 혜택과 보험 보장을 놓치지 않고 챙기는 것이 가계의 현명한 건강관리 첫걸음입니다.
반응형